PSAN (Role-Polymorphic Self-Adjusting Network) 작동예시
아래는 ssh로 접속한 10개 노드의 로깅화면입니다. (보안상 저해상도)
내부적으로 셔플, 역할 분담 ,합의, 투표 , 채굴 ,전파등의 행위를 완벽히 수행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ubms 스캔에서도 매번 역할이 변하는 역할다형성과 외부에서 알수 없는 셔플등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이것이 ubms에서 독자개발한 PSAN기술입니다.
유사한 기술로 이더리움의 VRF (Verifiable Random Function) “검증 가능한 난수 함수”기술이 있습니다.
우리 UBMS의 PSAN 기술과 비교하자면
난수를 이용한 역할할당이 아닌 해시를 이용한 역할 할당이란 점입니다.
이로인해 UBMS는 비콘체인의 생략이 가능하게 되어 블럭의 용량증가또한 방지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현재 한창 UBMS에서 개발중인 기술로 장차 캐시등의 역할이 추가되면 속도향상에 큰 기여를 하리라 봅니다.
https://www.ubms.co.kr/ 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역할은 노드수에따라 BP(청사진) 함수를 이용하여 자동조절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UBMS 백서를 인용합니다.
제목 |
---|
UBMS의 혼잡방지 및 역할다형성 기술 PSAN 실제 작동 증명 |
업비트 상장된 코인/토큰 코드베이스 조사 1차 |
블록체인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PSAN 구상 업로드 |
UBMS 코인 오픈베타 테스트 2025년 상반기 중 예정 |
바이비트 해킹으로 이더리움 퇴출 위기 , 이더리움 계정모델 취약한 이유 |
UBMS 코인의 POB 행위증명 채굴이란? |
비트코인과 , 이더리움의 수수료 대참사 , ubms가 쉽게 풀어봅니다. |
UBMS API, 백서의 수수료 부분과 지분채굴방식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비트코인의 utxo, 이더리움의 stake 둘다 가능한 UBMS 코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