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하면 기존 이더리움의 네트워크를 개선할 여지를 발견하여 해법을 러프 스케치 한것입니다.
자기복제를 위해 네트워크를 혼잡하게 만드는 비용은
노드의 증가와 정비례합니다
일부 디센트럴을 위반하더라도 노드별 역할분배하여 전송효율을 높이는것은 현재 이더리움의 기술입니다
ubms의 방법은
노드를 역할별로 분업시켜 클러스터 단위로 묶고 이것을 서킷으로 추상화합니다 서킷밖의 통신은 대표자노드가 한번만 통신하면 됩니다 클러스터 내부의 네트워크 즉 bus로 추상화된 경로로만 이동하여 각 부품 역할을 추상화 한 노드끼리 내부통신합니다
즉
서킷속의 노드는 부품처럼 역할하여 하나의 성능좋은 노드로 재탄생합니다
다음 에포크시 노드는 이합집산하여 다른 서킷을 구성합니다 이것은 각 노드의 역할을 외부 공격자 예측하기힘들게 셔플 합니다
서킷구성후 판정하여 열등한 노드를 기록하고 개선없이
반복되면 전체 네트워크에서 퇴출시킵니다
전체 노드수에 따라 최적의 역할과 클러스터를 구성할 노드수는 변할수있습니다
예를들어 10000개의 노드가 있는데 10개씩 묶인 클러스터와 1000개씩 묶인 클러스터는 전체트래픽 100배의 차이를 보입니다
잘못된 서킷을 구성하면 예를들어
서브넷을 벗어난 구성원은 클러스터 내부통신 전체를 느리게 만들수도 있습니다
모든 가능성을 다 시도하는것은 아닙니다
미리 준비된 상황별 청사진을 참고하여 구성하고 미세조정은 ai가 보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를 확실히 보장합니다
결론은 이렇습니다
ubms psan기술을 도입하면
동적인 해법(ai)과 정적인 해법(청사진)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psan은
런칭 이후 네트워크 이슈를 보고받고 매번 패치로 해결 하는것보다 진보적입니다
첨부한 ppt는
오래전 초기 아이디어 기록이지만 UBMS가 추구하는 방향이기에 공유 합니다.
전체 댓글 0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
제목 |
---|
UBMS의 혼잡방지 및 역할다형성 기술 PSAN 실제 작동 증명 |
업비트 상장된 코인/토큰 코드베이스 조사 1차 |
블록체인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PSAN 구상 업로드 |
UBMS 코인 오픈베타 테스트 2025년 상반기 중 예정 |
바이비트 해킹으로 이더리움 퇴출 위기 , 이더리움 계정모델 취약한 이유 |
UBMS 코인의 POB 행위증명 채굴이란? |
비트코인과 , 이더리움의 수수료 대참사 , ubms가 쉽게 풀어봅니다. |
UBMS API, 백서의 수수료 부분과 지분채굴방식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비트코인의 utxo, 이더리움의 stake 둘다 가능한 UBMS 코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