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급반등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중국을 제외한 주요 교역국에 대한 90일 상호관세 부과 유예 발표로 크게 오른 10일 서울 서초구 빗썸라운지 전광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돼있다. 2025.4.10 see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한국 성인 중 절반 이상이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보유한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5명 중 1명은 거래소 장애 등 가상자산에 관한 피해를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서울·경기 및 6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19∼69세 성인 남녀 2천5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이 조사에서 '과거 가상자산을 보유했거나 현재 갖고 있다'는 이들은 조사 대상자의 54.7%에 달했다.
복수 답변 기준으로 보유 목적은 '투자'(69.9%)가 가장 많았고, '가상 자산에 대한 호기심'(42.1%), '특정 서비스 이용을 위한 수단'(14.0%), '화폐를 대신하는 거래 수단'(13.7%) 의견이 뒤를 이었다.
가상자산으로 수익을 얻었다는 답변은 51.6%에 달했다. 투자 금액은 1천만원 미만이 58.7%였고 예상 투자 기간은 1년 미만(60.8%)으로 단기 소액 투자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가상 자산과 관련한 피해를 겪었다는 답변율은 20.3%였다. 복수 답변 기준으로 피해 유형을 볼 때 거래소 관련 문제가 72.8%로 가장 빈도가 높았다.
거래소가 전산장애, 해킹, 폐업 등으로 제 기능을 못 했다는 것이다.
거짓 투자 정보로 사람을 꾀는 '리딩방' 피해와 엉터리 암호화폐와 불법 거래소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투자 사기' 유형도 각각 44.7%와 35.5%의 답변율을 보였다.
피해 금액은 1천만원 미만이 75.1%로 가장 많았다. 큰 금액이 아닌 피해가 잦다 보니 '피해를 겪은 뒤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답변이 67.7%에 달했다.
가상자산을 현재 투자하는 이들은 평균 3종 이상의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고, 특히 비트코인(76.0%)과 이더리움(52.8%)에 대한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그 외 투자가 많던 암호화폐로는 리플(32.2%), 도지코인(24.6%), 솔라나(14.7%) 등이 있었다.
작년 7월 시행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항목에서는, 현재 암호화폐 투자자 중 절반(50%)이 이 법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이 법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들은 사기 행위에 대한 처벌과 거래소 보안 강화를 주요 보완 요소로 꼽았다.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확산하는 암호화폐 허위 정보에 대한 경고도 많았던 만큼 이런 정보에 현혹돼 급히 투자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tae@yna.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50422048400008
전체 댓글 0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
제목 |
---|
日 주식 최저 투자금 100만원으로 인하 추진 |
눈치 빠른 부자들이 찍었다는 이것은 |
개미 지옥에 비명 쏟아졌다 |
상업용 부동산에 해외 자본 몰린다 |
반값에도 안 사는 상황 서울도 예외 없었다 |
연수교육 연계 부동산 전세 피해 예방 교육 실시 |
2030 임장크루에 뿔난 중개사들 결국 |
여기 집값 왜 이래? |
리플 XRP, 가장 실용적 암호화폐 |
도쿄 증시 단가 낮춘다 |
거래량 폭발하는 주식시장 거래대금은 도리어 감소 |
서학개미 싹쓸이한 종목들 공통점 |
자산 대부분 부동산에 묶인 韓 영올드 |
화성시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이사비 최대 50만원 지원 |
새마을금고 건물 땅까지 매각 |
10분의 1토막에 날벼락 |
토허제 재지정에도 불안한 부동산 시장 |
성인 55% 암호화폐 보유 경험 |
데이마켓 재개 시점은 언제쯤? |
관세 폭탄 전 저커버그 주식 1조원 팔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