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친트럼프 하원의원 주식거래 내역
[하원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대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발표하면서 미국 주식이 일부 회복된 가운데 친(親)트럼프 하원의원이 발표 당일 및 그 전날 최대 수십만달러 규모의 주식을 산 것으로 나타났다고 뉴욕타임스(NYT), 블룸버그통신 등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화당 소속의 트럼프 충성파 마조리 테일러 그린 하원의원(조지아)은 이 같은 내용의 주식 거래 내역을 하원을 통해 공개했다.
미국 언론에 따르면 그린 의원은 지난 8일과 9일에 1천1달러에서 1만5천달러 범위에서 21건의 주식 거래를 했다.
양일간 매수한 금액은 2만1천 달러에서 31만5천달러 규모이다. 매수 종목에는 아마존,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퀄컴, 블랙스톤 등이 포함됐다.
미 하원의원은 주식 거래에 대해 30일 이내 신고하게 돼 있으나 구체적인 금액 대신 대략적 범위만 기재하면 된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90일 관세 유예를 전격적으로 발표하기 이전에 실제 어느 정도 거래가 있었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다만 '90일 유예' 발표 전날인 8일 거래 금액은 1만1천11달러에서 16만5천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그린 의원은 또 같은 기간 5만달러에서 10만달러 사이의 국채도 매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등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급락하던 지난 9일 오전에 "지금은 매수 적기"라는 글을 올렸으며 뒤이어 "침착하라.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절대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언급했으나 9일 낮에 전격적으로 '90일 유예' 조치를 발표했으며 그날 주식이 급등했다.
주식 시장은 이후 다시 하락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그린 의원이 매입한 주식 대부분은 매입 때보다는 높은 가격대에 있다고 미국 언론이 전했다.
미국 야당이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유예' 발표 전에 트럼프 측 인사들이 이른바 '내부자 거래'를 했는지 조사해줄 것을 당국에 촉구한 바 있다.
soleco@yna.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6004500071
전체 댓글 0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
제목 |
---|
외국인 주식자금 8개월째 순유출 |
트럼프 中 주식 상장폐지 검토 |
망해가는 상가 해법은? |
서울 부동산 시장 숨고르기 |
부동산 민심 내가 잡겠다 |
블록스퀘어 미국 부동산 10억달러 토큰화 계약 |
부동산 이젠 질적 수요 주목 |
암호화폐 대중화 표준화가 열쇠다 |
중 전기차 일 소비재주 주목 |
주가 뛰자 대주주 먹튀 |
롤러코스터 탄 美주식 |
결국 엔비디아 제친 이 주식 |
6억 부동산이 6000만원 됐다 |
사실은 가짜 부동산원 직원 조작 통계에 히든 메시지 남겼다 |
신축인데 8000만원 손해보고 팔아요 |
부자들 투자 1순위 |
내 집 마련 타이밍 부동산 초고수 6인에게 물었다 |
비트와이즈 런던 증권거래소에 암호화폐 ETP 4종 상장 |
솔라나 2025년 1분기 암호화폐 시장에서 이더리움 능가 |
미국 의원 관세 유예 발표 전 주식 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