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부동산 침체에 중개업도 직격탄

소식쟁이 | 2025-04-14 02:23:44 조회 54 | 추천 0 | 댓글 0 | 조회 54 | 추천 0 | 댓글 0


서울시 송파구 공인중개사 사무실 불이 꺼져 있는 모습. (연합)

올해 개업한 공인중개사 수가 2000년 이후 25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와 공인중개사무소 포화 현상 속에 신규 진입자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3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올해 1~2월 신규 개업 공인중개사는 1월 871명, 2월 925명 등 총 179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0년 이후 동일 기간 기준으로 가장 적은 수치다.


최근 10년간 1~2월 신규 개업자 수를 보면 △2016년 3844명 △2017년 4486명 △2018년 4260명 △2019년 3353명 △2020년 3972명 △2021년 3306명 △2022년 3473명 등 3000~4000명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2023년 2496명으로 줄었고, 지난해는 2008명까지 감소했다.

2000~2015년에는 연간 시험 횟수나 합격자 수 변동에 따라 등락이 있었지만, 이 시기에도 12월 기준 신규 개업자 수는 최소 2500명, 많게는 6000명에 달했다. 2000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공인중개사는 통상 봄 이사철 수요를 겨냥해 연초에 개업하는 경우가 많지만 작년부터 이러한 계절적 개업 쏠림 현상도 점차 사라지고 있다”며 “부동산 매매 시장 부진이 이어지고 사무소 포화가 맞물려 신규 개업 감소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전체 개업 중개사 수 역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2월 11만7923명이었던 개업자 수는 매월 줄어들며, 지난 2월 기준 11만1756명까지 감소했다.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자 수도 줄었다. 지난해 응시자 수는 15만4669명으로,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0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7년 이후 처음이다.

협회 관계자는 “정부 차원의 부동산 시장 활성화 정책이 나오지 않는 한 이러한 감소 추세는 계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폐업하고 싶어도 권리금을 회수하지 못해 울며 겨자 먹기로 사무소를 유지하는 분들도 있다”고 밝혔다.

홍승표 기자 sphong@viva100.com


https://www.viva100.com/article/20250413500313



전체 댓글 0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세상소식
제목 닉네임 일시 조회수 추천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