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정부는 11일 "부동산 시장 불안이 발생할 경우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외에도 금융·세제·정책대출 등 다양한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과 진현환 국토교통부 1차관 공동 주재로 '제15차 부동산 시장 및 공급상황 점검 TF'를 열고, 이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19일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한 이후, 용산·강남 3구 등 서울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 폭이 점차 둔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용산·강남3구 아파트 가격은 3월 셋째 주 0.74%의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넷째 주 0.19%, 이달 첫째 주 0.16%로 하락했다.
서울 전체는 3월 셋째 주 0.25% 상승한 이후 4월 첫째 주에는 0.08% 상승에 그치며 상승 폭이 4주 연속 축소됐다.
아울러 정부는 시장 상황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면서 주택시장 불안이 우려될 경우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외에도 금융·세제·정책대출 등 다양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 시장 안정 조치를 강구할 방침이다.
특히 서울·수도권 입주 예정 물량을 점검하며, 주택공급이 계획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공급계획의 세부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올해 서초·강남·송파·강동구 등지에 입주 예정인 1만 4000호 규모의 양질 주택이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정비사업 추진 현황을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수도권 입주 물량을 확대하기 위해 신축매입 물량을 지난해 11만 호로 대폭 확대했다"며 "이 중 80%가 수도권 선호 지역에 공급될 예정이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입주를 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한국부동산원과 함께 현장점검반을 구성해, 서울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 담합, 허위 매물·허위 신고, 부적절한 자금조달 등 시장 교란 행위를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특히 집값 띄우기, 편법 증여, 편법 대출 등 불법 의심 거래는 국세청·금융위원회·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고, 경찰청에 수사 의뢰하는 등 대응할 방침이다.
phlox@news1.kr
https://news.nate.com/view/20250411n24346
전체 댓글 0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
제목 |
---|
올 1분기 주식관련사채 행사 규모 4059억원 |
개인 투자자 1주일새 미국주식 2조6000억 순매수 |
정책에 춤추는 부동산 촌극 멈춰야 |
부동산 침체에 중개업도 직격탄 |
부동산 매입해 수년간 허위 전세계약 |
경실련 22대 국회의원 부동산 보유 실태 종부세 대상자 공개 예고 |
강남 집주인들 집값 상승에 베팅 |
미증시 랠리에 암호화폐도 일제↑ 리플 2.59% 상승한 2.01달러 |
트럼프 전자기기 관세 면제 |
뉴욕주 비트코인 등 4개 암호화폐로 공공요금 결제 법안 추진 |
주가 50% 급락해도 버텨라 |
트럼프측, 주식시장 재급락에 특이 상황 없다 |
대한민국 살릴 길은 이것뿐이야 |
교통악재에 토허제 날벼락 위례 아파트 가보니 |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후폭풍 |
서울 부동산 상승폭 둔화 불안 시 투기지구 등 시장안정조치 |
공인중개사 신규 개업 25년만에 최저 |
규제 완화만 기다렸는데 |
스트래티지 암호화폐 폭락에 9조원 손실 |
해외 주식 옮기고 거래하면 최대 300만원 지원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