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미국 유럽 상업용 부동산 회복세 아시아는 성장섹터 주목

소식쟁이 | 2025-03-31 08:04:42 조회 48 | 추천 0 | 댓글 0 | 조회 48 | 추천 0 | 댓글 0


2025 글로벌 시장 전망 보고서 개요. 이지스자산운용 제공

기준 금리 인하로 미국과 유럽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CRE)이 단계적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시아 지역에선 전통 자산인 오피스 대신 시니어 임대주택 등 성장 섹터가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전망' 보고서를 31일 공개했다.


이지스 측은 "정치 리스크가 확대되고 추가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금리인하 속도 조절 등 불확실성이 재확대되고 있으나, 사이클에 따라 회복 요인이 나타나고 있다"며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도 반등 기회가 생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주요 대기업의 'RTO(Return to Office)' 정책 강화로 오피스 수요가 점차 회복세에 접어들고 있다. 오피스 신규 공급이 감소하면서 가격 저점 형성과 투자심리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장의 물류 부문은 이커머스 성장률 둔화와 공급 증가로 단기 리스크가 커졌으나, 니어·온쇼어링 트렌드에 따른 제조 물류 증가 덕분에 점진적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멀티패밀리(다세대 임대 주택) 부문도 가구 수 증가와 주택 구입 비용 상승 등으로 인해 투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유럽 시장도 경기 펀더멘털 회복 기대감과 상업용 부동산 가격의 상승 전환으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유럽 시장의 물류와 멀티패밀리 부문은 최근 5년간 양호한 수익률을 유지했다. 오피스와 리테일 부문은 그동안 비교적 낮은 수익률을 보였으나 지난해부터 회복세로 전환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선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오피스 부문의 수요 회복이 빠르게 나타났다. 특히 중국과 호주는 오피스 공급 둔화로 장기 임대료의 기대 상승률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싱가포르, 한국, 일본, 호주 중심으로 주택 구입가격 상승 및 고령화 속도 증가로 상업용 주거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공지능(AI) 등 기술 혁신으로 자산 성장 주기에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도 관측됐다. 대규모 투자에 나서기 전에 테크 산업의 성장에 따른 사업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도 철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박정민 이지스 전략리서치실 팀장은 "미국의 내수 부양 중심 정책과 유럽 경기 사이클 회복으로 상업용 부동산 시장도 점진적 회복세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아시아는 오피스 등 전통 섹터의 경우 향후 매각을 통한 수익 확보에 허들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임대수익에 초점을 둔 투자와 함께 주거 및 데이터센터 등 성장 섹터에서 추가 수익을 확보하는 투자가 주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https://news.nate.com/view/20250331n27194



전체 댓글 0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세상소식
제목 닉네임 일시 조회수 추천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