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 부동산 부자'를 가르는 기준선이 최근 5년 새 5억원 넘게 상승한 '3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중간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2000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서울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면서 수도권 자산가들의 부동산 자산 규모가 비(非)수도권 대비 가파르게 증가하는 등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모습이다.
23일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작년 부동산 자산이 상위 1%인 가구의 기준선은 3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표본 가구를 실물자산(부동산 금액) 순으로 나열한 뒤, 각 가구의 가중치를 고려해 상위 1%에 해당하는 가구의 부동산 자산을 산출한 결과다. 작년 기준 상위 1% 부동산 부자가 되려면 최소 30억원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해야 한다는 의미다.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2019년 부동산 상위 1%의 기준선은 24억6000만원이었다. 5년 새 5억 4000만원이나 오른 것이다.
상위 5%의 기준선 또한 2019년 11억2000만원에서 작년 14억1000만원으로 2억9000만원 상승했다.
상위 10% 역시 7억5000만원에서 9억5000만원으로 기준선이 2억원 올라갔다.
반면 부동산 자산 기준으로 줄을 세웠을 때, 전체의 가운데인 중위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2019년 1억6000만원에서 2021년 1억8000만원으로 2000만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20~2022년 부동산 급등기와 이후 조정기를 거치면서 자산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단 상위 1%, 5% 안에 드는 표본 가구가 많지 않은 만큼 통계적 유의성에 주의해야 한다.교육, 기업, 교통 인프라가 집중되는 강남권역에서 집값이 치솟으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점차 벌어지고 있다.
작년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 가구가 보유한 부동산 평균 금액은 수도권에서 13억6544만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10억5477만원) 대비 3억1067만원 증가한 셈이다.
같은 기간 비수도권 자산 5분위는 2019년 8억6235만원에서 작년 10억7211만원으로 2억976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체 자산 평균 금액을 시도별로 보면 전국 평균(5억4022만원)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세종, 경기로 조사됐다. 작년 기준 세종이 7억6663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서울·경기는 각각 7억6173만원, 6억5945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평균 금액이 가장 낮은 시도는 충남(3억5915만원)과 전남(3억6586만원)이었다.권준영기자 kjykjy@dt.co.kr
[연합뉴스]
[연합뉴스]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32302109963079008
전체 댓글 0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
제목 |
---|
영풍 수천억 적자 속 주식배당 확대 꼼수로 법원 판결 무력화 시도 |
공매도 재개 직전 주식대차거래 급증 |
부동산 공화국의 흔한 엔딩 |
월세 1억3000만원 내는 BTS 제이홉 |
집도 안 보고 무섭게 매수하더니 일주일 만에 돌변 |
잠실 리센츠 32억에서 29억으로 하락 |
블랙록 상하이 빌딩 34% 할인해 매각 |
암호화폐 시장 4월 성패 갈린다 |
리플 2% 상승한 2.41달러에 거래 |
5년 후 큰 돈 벌게 해줄 업종 6개 |
ATS 종목 350개로 |
부동산 직거래 앱 주의 출처 |
임대료 깎아달라는 홈플러스 요구에 부동산 펀드들 패닉 |
[시론] 경솔한 부동산 정책의 피해 국민 몫이다 |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백트 스테이블코인 결제로 영토 확장 |
SEC 암호화폐 규제 완화로 방향 전환 |
리플 CEO 미국 암호화폐 ETF 승인으로 XRP 퀀텀 점프 예상 |
점점 커지는 미국 주식에 대한 우려 [PADO] |
토허제 번복에 부동산 시장 대혼란 |
서울 집값에 불 질러 토허제 대체 뭐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