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MBK, 고려아연 ㈜한화 주식 처분 관련 주주대표소송
"주식 헐값 처분으로 배임…한화 지지 얻기 위한 거래"
(서울=연합뉴스) 송은경 기자 = 영풍·MBK파트너스는 5일 고려아연[010130]이 ㈜한화 주식 처분으로 회사와 주주들에 손해를 끼쳤다며 주주대표소송 제기를 위한 절차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영풍·MBK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마땅히 프리미엄을 받아야 할 주식을 헐값으로 한화에너지에 처분해 고려아연과 주주들에게 큰 재산적 손해를 끼쳤다"며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은 이같은 손해를 잘 알면서도 당시 경영권 박탈 위기에 몰리자 고려아연 주요주주인 한화 계열사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회사와 주주들에게 배임행위를 저질렀다"고 소 제기 취지를 설명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11월 보유한 ㈜한화 지분 7.25%(543만6천380주) 전량을 시간외대량매매로 한화에너지에 넘겼다. 주당 매각가는 2만7천950원으로, 2022년 고려아연이 자사주 교환 방식으로 ㈜한화 지분을 매수할 당시 가격보다 3% 낮은 가격이어서 명목상 약 49억원의 손실을 봤다는 게 영풍·MBK의 주장이다.
영풍·MBK는 "거래가 있기 불과 4개월여 전 한화에너지는 ㈜한화 지분을 주당 3만원에 사들이는 공개매수에 나섰다"면서 "만약 고려아연이 이 공개매수에 응해 ㈜한화 지분을 처분했다면 매입가 대비 49억원 손실이 아니라 약 110억원의 이익을 얻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당시 한화에너지와 고려아연 간 주식매매계약 체결로 한화에너지의 ㈜한화 지분율은 14.90%에서 22.16%로 확대됐다. 한화에너지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이 지분을 나눠 갖고 있는 회사다.
영풍·MBK는 "한화에너지로선 그룹 승계를 위해 중요한 주식을 기대보다 훨씬 싼 값에 확보한 것이지만, 고려아연 입장에선 비싸게 받을 수 있는 자산을 오히려 손해 보고 처분한 꼴"이라며 "고려아연 경영권이 영풍·MBK로 넘어갈 경우 ㈜한화 지분 매입 기회 자체가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할 정황도 충분했다. 한화에너지로선 프리미엄 지불이 아깝지 않을 주식이었던 셈"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 호재에 힘입어 ㈜한화 주가는 전날 종가 기준 4만4천550원까지 올랐다.
영풍·MBK는 "만약 고려아연이 현재 가격에 ㈜한화 지분을 처분했다면 무려 930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차익을 거둘 수 있었지만 기회를 날려버린 것"이라며 "이 기회는 한화와 맺은 3년이란 의무보유약정만 지켰더라도 가질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norae@yna.co.kr
(끝)
출저 :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KR20250305113500008
전체 댓글 0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
제목 |
---|
나 떠나고 재산싸움 나면 어쩌지 부동산 상속 유언대용신탁이 답 |
상업용 부동산 시장 경고등 |
반포자이 최고가 우즈벡인이 현금으로 샀다 |
트럼프 행정명령 서명에도 리플 등 암호화폐 급락한 진짜 이유는? |
트럼프 전략자산 암호화폐 준비금 전면 재조정 |
SEC 리플 XRP 소송 철회 |
영풍 고려아연 주식 현물출자해 유한회사 설립 |
경기 침체 우려 속 휘청이는 미 주식 시장 |
트럼프 주식시장 신경 안 써 |
서울 아파트값 0.25% 올라 |
서울 저소득층 88년 모아야 강남 집 산다 |
부동산 들썩이는 이유 살펴보니 |
트럼프 의회 연설 암호화폐 언급 없어 핵심 의제 아닌가? |
트럼프 암호화폐 비축 발표 후 비트코인·이더리움·XRP 거래소로 대규모 유입 |
美 백악관 7일 크립토 서밋에서 전략 비축 대상 암호화폐 확정 |
이재용이 주식 부자 1위가 아니라니 12조 조정호가 앞질러 |
버크셔가 현금 보유량 늘리자 美 주식 고점설 나돌았는데 |
한국투자증권 간밤 美 주식 주문 오류 현지 브로커 문제 |
지난달 월세 계약 비중 사상 최대 |
10년 사이 가계자산 부동산 비중 더 높아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