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은행의 대출 창구. 연합뉴스
주관적으로 체감하는 근원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오르면 10~30대 자가 주택 소유 확률이 7.4%포인트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현상에 부동산 정책뿐 아니라 과거 인플레이션 경험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플레이션 경험이 주택 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근원물가란 변동성이 큰 식료품·에너지 등을 제외하고 산출한 물가다. 분석 결과, 과거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를 경험한 개인은 주택 구입 가능성이 높아졌다. 화폐자산은 인플레이션으로 가치가 줄어드는 반면 주택과 같은 실물자산은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믿음에 따른 것이다.
특히 근원 물가 상승을 경험한 것은 주택 소유에 영향을 미쳤다. 비근원 물가 상승 경험은 그렇지 않았다. 이는 공급 측 요인이면서 변동성이 심한 비근원 물가보다 장기적이고 수요 측 요인인 근원 물가 상승 경험 시 주택 구입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을 뜻한다.
가구 특성별로 보면 30대 이하에서 주관적으로 체감하는 근원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오를 때 자가 주택 소유 확률이 7.4%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최영준 한은 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연구위원은 “30대 이하에서 ‘영끌’ 현상이 나타난 데는 부동산 정책 기조 등도 영향을 미쳤겠지만 과거의 인플레이션 경험, 즉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 화폐가치는 떨어지고 주택 가치가 오른다는 큰 흐름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30대 이하뿐 아니라 남성, 기혼, 4인 이상 가족, 총자산이 작은 가구도 근원 물가 상승 경험 시 주택 소유 확률이 증가했다.
최 연구위원은 “이번 분석 결과는 높은 경험 인플레이션에 따른 주택 수요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선 주로 수요 측면의 근원 인플레이션에 초점을 두고 물가 안정에 힘써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출저 : https://www.khan.co.kr/article/202503041551001
전체 댓글 0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
제목 |
---|
정부 강남4구·마용성 현장점검 부동산 투기 세력 엄정 대응 |
경남도 부동산 거래경험없는 계층 위한 동행 중개사무소 운영 |
전국에 빈집' 150만 가구 무서운 통계 이유 밝혀졌다 |
암호화폐 시장 3월 말부터 오른다. 2026년까지 정점 |
백악관 암호화폐 정상회의를 주도하는 보 하인스는 누구인가요? |
마이클 세일러, 백악관 암호화폐 정상회의 참석 |
엑스알피(XRP) 급락 |
1시간 만에 암호화폐 시장에서 24조 달러 이상이 청산되었습니다! |
미래에셋증권 주식매매 시스템 오류 |
영풍 MBK 고려아연 ㈜한화 주식 처분 관련 주주대표소송 |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 |
토허제 해제에 서울 2월 거래량 5000건 찍을까 |
수용자 태도가 흐름 결정한다 |
이촌동 아파트 64억 신고가 빙그레 회장님이 샀다 |
암호화폐 파이코인 중대 발표 |
1차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발표 1시간 후 비트코인 이더리움 포함 |
트럼프의 암호화폐 전략적 비축 정책 발표 비하인드 |
텔레그램서 주식 추천한 뒤 매도 23억 챙겨 |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오늘 출범 하루 12시간 주식 거래한다 |
부동산 최악 한파에 줄도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