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요즘 핫한 비트챗(bit chat)과 과거 UBMS 통신 구상 비교

개코 | 2025-07-15 12:39:53 조회 146 | 추천 1 | 댓글 2 | 조회 146 | 추천 1 | 댓글 2




https://bit-chats.com/


이글은 ubms코인과 관련없지만


요즘 화제가 되고있는 비트챗과 과거 저의 구상을 비교해보았습니다

비트챗 핵심아이디어는 인터넷 없는 환경에서 블루투스를 활용해서 노드끼리 디스커버리하고 통신한다는 개념입니다 .

블루투스를 제외하면 구현기술에서 제가 구상하던 것과 대체로 유사해서 비교를 해본것입니다.



메시지 베니싱  

바이너리 프로토콜

릴레이

디센트럴

피어 디스커버리

종단암호화

블루투스

bit caht

x

o

o

o

o

o

o

ubms

o

o

o

o

o

o

x





아래는 본인이 예전 2021년 구상한 디센트럴 휘발성 베니싱 메시지 네트워크 구상입니다.


전반적인 기술구현은 비슷하나 핵심아이디어가 다릅니다.

비트쳇은 블루투스 활용한 기술이 핵심이고

저의 핵심 아이디어는 메시지의 SOURCE가 사라지고 DEST만 남는 로직이 핵심입니다

라이프게임에 최초 조상은 사라지지만 후손이 영원히 살아 남아 번성하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따온것입니다.


정확히 무엇이 비슷하냐?

--> 모든 참여 노드가 의무적으로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는것이 비슷합니다


요약하자면 ubms방식은 ttl 설정으로 데이타가 공간축보다 시간축변화에 더 민감하다는것입니다.

아래 그림은 단방향 전파에 대한것 뿐이고 , 실제 회신은 불가한 구조라 최선은 회신이 필요없는 상황에서 써야하지만

목록서버 처럼 참여자들은 전역공간의 같은 대상을 바라보는것으로 서로간에 통신은 가능합니다.








 

나중의 일이지만 ubms 코인을 개발하면서  위  그림은 가십(gossip)전파와 상당히 유사하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류의 알고리즘을 더 찾아보니

1987년 전염병 알고리즘이 최초의 아이디어 인듯합니다. (Epidemic algorithms for replicated database maintenance)

https://dl.acm.org/doi/pdf/10.1145/41840.41841 <-- 백업(이중화)된 db 유지보수를 위한 전염병 알고리즘 pdf


결국 다들 비슷한 해법을 찾아내는게 재미있습니다ㄷㄷ





전체 댓글 2 개 댓글닫기 | 새로고침


복을부르는사람
이런!! 복의 바구니가 거대한!!!                                                                                                                                                                                    

개발
제목 닉네임 일시 조회수 추천